Dev 3

[데이터 교환 형식] xm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란?XML은 데이터의 구조와 의미를 사용자 정의 태그로 표현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주로 시스템 간 데이터 저장 및 교환에 활용됩니다. Markup태그나 기호를 활용해 데이터 구조나 의미를 부여하는 것 [예시]• HTML, XML: 태그 중심() • Markdown: 기호(#, **, -) • LaTeX: 백슬래시 + 명령어 (/)  XML의 기본 구성XML은 프롤로그, 하나의 루트 요소, 그리고 그 안에 포함되는 여러 하위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  프롤로그(Prolog)문서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며, version, encoding 내용을 포함한다.• version: XML 버전• encoding: 문자..

Dev 2025.04.11

[데이터 교환 형식] JSON의 직렬화와 역직렬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란?JSON은 Javascript 객체 문법을 기반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 형식입니다.Python, Javascript, Java 등 여러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사용되며, 객체(Object) 형식 외에도 단순 배열, 문자열도 표현 가능합니다. Javascript의 객체(Object)Key-Value 형식으로 구성된 데이터 구조이다.const person = { name: "뚜룻", age: 29, isDeveloper: true}; Javascript VS JSONJSON은 Javascript 객체 리터럴 문법에서 파생된 텍스트 기반 데이터 포맷이고, Javascript는 제어 흐름과 로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JSON..

Dev 2025.04.05

unique 대신 @uniqueConstraint를 사용하자

JPA에서 unique 속성을 사용하면 일어나는 일 이제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컬럼의 값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nique 속성을 즐겨 사용했었다. 하지만 이렇게 unique 속성을 사용했을 때 큰 단점이 하나 있다.JPA에서 해당 컬럼에 대한 unique 제약조건을 만들어주기는하는데, 대신 제약조건의 이름이 랜덤으로 정해진다는 것이다.아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해둔 부분이 바로 제약조건의 이름이다.   제약조건 이름이 랜덤인게 뭐가 문제인가? 뭐가 문제인지 알고싶으면 직접 오류를 일으켜서 확인해보는게 확실하다.postman을 사용해서 일부러 중복되는 email을 저장해보았다. 콘솔창도 확인해보자.내용이 너무 길어서 일부만 캡쳐해왔다.아래 빨간박스로 표시한 부분이 바로 JPA에서 랜덤..

Dev/JPA 2025.01.02